그런데, form 태그안에 플래시가 삽입되어 있을경우, ExternalInterface 가 동작하지 않는다.
어떤 문제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출처 글을 보게 되면, IE6이나 IE7에서만 있는 문제인듯.ㅡ,ㅡ
2009년 프로젝트 진행 시 이 문제 때문에 애 먹었던 거 생각하면.쩝..
(특히 플래시 플레이어 9.0.45에서 에러가 발생, 플레이어 버젼별 테스트 다 했음..)
if (isIE) {
var txt = '<object classid="clsid:D27CDB6E-AE6D-11cf-96B8-444553540000" codebase="http://fpdownload.macromedia.com/pub/shockwave/cabs/flash/swflash.cab#version=8,0,0,0" width="'+width+'" height="'+height+'" id="'+id+'" align="middle">';
txt+= '<param name="allowScriptAccess" value="always" />';
txt+= '<param name="flashVars" value="'+vars+'" />';
txt+= '<param name="movie" value="'+url+'" />';
txt+= '<param name="quality" value="high" />';
txt+= '<param name="wmode" value="transparent" />';
txt+= '<embed src="'+url+'" quality="high" wmode="transparent" style="width:'+width+'px; height:'+height+'px;" align="middle" allowScriptAccess="always"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go/getflashplayer" flashVars="'+vars+'"></embed>';
txt+= '</object>';
document.write(txt);
eval("window." + id + " = document.getElementById('" + id + "');");
} else {
txt = '<embed id="'+id+'" src="'+url+'" quality="high" wmode="transparent" style="width:'+width+'px; height:'+height+'px;" align="middle" allowScriptAccess="always" type="application/x-shockwave-flash" pluginspage="http://www.macromedia.com/go/getflashplayer" flashVars="'+vars+'"></embed>';
document.write(txt);
}
}
위와 같이 하면 해결이 되었던 걸로 기억한다..
p.s.좋은 정보를 공유해주신 알쯔님 감사합니다..
출처 : http://blog.arzz.com/301
프로젝트 수행 시 GNB 펼침을 위해 flash 출력을 투명으로 설정, DIV로 코딩된 페이지를 비스타에서 볼 경우 아래와 같이 object영역이 먼저 표시되고 컨텐츠가 출력되는 현상이 발생했다.(비스타 UAC(사용자 계정 콘트롤)과 보호모드 사용함.)
여러 소스 중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SWFObejct 함수를 사용했다.
해당 함수를 사용할 경우 비스타에서 사이즈를 %로 했을 때 파일이 나오지 않는 문제, object영역 표시 후 보이는 현상, 파이어폭스에서 zindex가 적용되지 않는 문제 등이 해결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 참조하길.. ========================================================================================
단, 작업 중 실수일지 몰라도 아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소스는 몇 몇의 컴퓨터에서는 플래시가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어 수정했다.
그리고, 역시 작업 중 실수일지 몰라도 아래 페이지에서 설명은 좀 다르지만, 해당 DIV의 id와 so.write(“id”)가 같아야 출력된다.
swfobject_수정.js가 수정된 내용이고, 나머지는 모두 원본소스이다.
참고 사이트 : http://blog.naver.com/logon77?Redirect=Log&logNo=110011578861
참고로 아래는 UAC설정 및 보호모드 설정방법이다.
========================================================================================
메일 서비스 사업자마다 또는 회사마다 다른 메일 서버를 사용하고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브라우져(익스, 파폭)에서 정상으로 보여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충 지금까지 몇 번의 eDM 발송과 관련해서 일을 하다 보니
div테그, style의 특정 테그(아마 익스 전용 테그들이겠지..?) 정도들은 먹히지 않는 듯 하다.
특히나 현재 운영업무를 맡고 있는 저 회사+_+.
외국계열 기업이라서 그런지 메일 코드 필터가 더욱 심한듯 하다..
보통의 메일 서비스 사업자도 기본적으로 swf, js 등은 사용 못하지만,
style이나 div테그로 공격적인 악성코드를 심을 수 없는 것으로 아는데....
보안에 열을 내는 건 좋은데 너무 심하다하는 생각이 든다..
쉽게 할 작업을 꼭 예전 스타일로 하게 만들어서 작업하는 사람들을 죽이는 꼴이니.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