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로딩 속도와 보안 관련 문제 때문에 웹서핑 중 마케팅 관점에서 본 분석 체크 리스트를 찾았다.
간단히 각 문항에 대해 답을 달아봤는데 꽤 오래된 자료인 듯 싶다..ㅎㅎ..
출처는 알 수 없음이지요..너무 많이 돌아다니거든요~
아, 서버단에서 체크하는 리스트 말고 사용자단에서 체크하는 보안 관련한 체크 리스트는 없나?
------------------------------------------------------------------------------------------------
▣ 마케팅 관점에서 본 사이트 분석 체크 리스트
1. 회원의 불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게 하고 있는가?
--> 지금까지 당연하다고 여겼던 주민등록번호등의 여러 정보들...
마케팅 관점에서는 필요할지도 모르지만, 사용성에서는 영 아니다라는 생각이 든다.
2. 정보를 이용하는데 불 필요한 회원가입을 유도하고 있는가?
--> 이 역시 마찬가지 아닐까..쉽게는 아니지만, 결국 찾을 수 있는 정보들을 보기 위해
회원 가입을 시키는 미친 사이트들..+_+.
3. 문의에대한 답변을 얼마나 정확하고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 사이트 관리, 운영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겠다..
구축을 할 때는 질문에 대한 catch를 빨리 할 수 있도록, 답변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찾아야겠지..
4. 이용자가 문의 하는데 이용의 문제점은 없는가?(예: ARS)
--> 문의할 수 있는 채널을 다양하게 만들어주는게 해답일까? 아니면 다른 방법이라도..~...
5. 사이트의 신뢰성(정보, 회원정보) 을 보여주고 있는가?
--> 컨텐츠의 질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였네요..
6. 새로운 아이디어, 컨텐츠나, 서비스, 이벤트 가 있는가?
--> 이러한 것들이 많아야 방문이 높고, 또 충성고객으로 이어질까?
새로운 것들이 유도를 시킬 수 있겠지만, 사이트를 유지 하는 건 다른 문제라고 보여진다..
7. 클릭을 유도하는 기법이나 문구(내용)이 잘 되어 있는가?
--> 말 만들기.ㅋ...가끔 내가 카피라이터라도 된 기분이 들 때가 있다..
8. 회원들의 커뮤니티는 어느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원, 및 서비스는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 최근에는 카페 등의 커뮤니티 서비스를 주지 않아도 될 만큼 기술이 발달했지..
하나의 사이트에서만 국한되어 폐쇄적으로 운영되는 커뮤니티는 없어질 수도 있지 않을까...
9. 지불시스템은 얼마나 쉽고 신뢰성이 있는가?
--> 어떤 PG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느냐에 따른 것이다. 물론 결정은 사이트 관리자가 하는 것이겠지만..
10. 사이트에서 기업의 개성을 느낄수 있는가?
-->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사이트에 잘 녹여놨느냐 하는 문제인데...최근에는 높은 퀄리티를 내는 디자이너들이 많아 잘 하는 듯...ㅋ
11. 프로모션 활동이나 운영은 어떠한가?
--> 중요한 부분이겠거니만서도 로드맵을 그려놓지 않으면 단타성으로만 끝날 것들이 많겠다.
12. 계속 관심을 끌만한 컨텐츠나 이벤트가 있는가?
--> 차별화된 컨텐츠를 생산하고, 차별화된 이벤트를 진행하는가??..글쎄..
요즘 차별화된 컨텐츠라고 할 만한 것들이 있을까..UCC가 넘쳐흘러나는 시기라, 기업 사이트에서는
컨텐츠 생산보다는 그것이 가능토록 해 주는 정도로만 끝나고 있는 듯..
13. 얼마나 주기적으로 업데이트가 되고 있는가?
--> 블로그 포스팅도 마찬가지 개념...쿨럭.ㅡ,.ㅡ
14. 회원의 충성도를 높일수 있는 인센티브 같은 회원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 도토리, 땅콩, 비타민....사이버 머니와 같은 형태와 또 다른 방식은 없을까?
15. 광고가 사이트의 이용에 방해가 되고 있지 않는가? (속도, 크기, 브라우저)
--> 징그러운 광고.. 서비스를 이용한 수익원이 없는 사이트에서 예전에 많이 사용되었던 광고기법들..정말 귀찮다..
16. 디자인이 웹의 아이덴티를(WI) 반영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 10번 기업의 개성과는 조금 다른 문제지만, 얼마나 큰 차이가 있을까...
기업이 가지고 있는 개성, 기업의 웹 아이덴티티..차이가 뭐냐? 말 장난일뿐..
17. 회원가입, 및 탈퇴가 쉽고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 요즘 그렇게 하지 않으면, 관리자가 참 귀찮아진다.
18. 제공되는 정보가 실제 업무에 도움이 되는가?
--> 어떤 업무에? 마케팅 관점이니 마케팅 측면이겠지.. 그럼 어떤 정보들이 제공되는데?
문제가 애매하단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