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ㅇㅇ쇼핑몰 제안에 참여하면서 새로운 용어를 들었습니다. RBMS가 바로 그것인데 요놈은 무엇을 하는 놈인가 찾아보았습니다. 몇 가지 내용을 찾았었는데 그나마 아래 내용이 좀 더 이해하기 쉬워 가져와 봤습니다. 더불어 관련 용어도 좀 찾아봤습니다.
================================================================================================ 규칙기반관리시스템(RBMS:Rule Base Management System) 규칙기반관리시스템(RBMS:Rule Base Management System)이 고객관계관리(CRM) 솔루션의 시스템 개발 아키텍처로 각광받고 있다. RBMS는 기업의 업무규칙•절차•내용•담당자 지식 및 경험 등 다양한 비즈니스 로직을 일정한 규칙(rule)으로 표현하고, 룰 엔진으로 프로세스를 자동 제어하는 형태의 개발 방법론이다. 이전에는 비즈니스 로직을 바꾸기 위해 시스템의 내부 소스코드를 수정해야 하는 데 비해 RBMS로 구현된 시스템에서는 업무절차나 제어로직이 들어 있는 룰만 수정하면 되기 때문에 기존 방식보다 훨씬 간편하고 유연하다.
즉 RBMS는 비즈니스 로직을 ‘만일 그렇다면(if-then)’ 문장의 룰로 제작•관리하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기간이 짧고 비용이 대폭 절감된다. 비즈니스 로직을 수정할 경우에도 고칠 부분만 룰베이스에 추가하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쉽다. 이 때문에 업계 전문가들은 RBMS를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갱신해야 하는 CRM 분야에 효과적인 시스템 아키텍처로 추천하고 있다...... --하략--
<정은아기자 eajung@etnews.co.kr> ================================================================================================= 규칙기반관리시스템(RBMS:Rule Base Management System) RBMS(Rule Base Management System)는 비즈니스 룰을 관리하고 운용하기 위한 개발자, 사용자, 관리자 등 3자 통합 관리 환경을 갖춘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업내부에 존재하는 업무규칙, 절차, 노하우 등의 업무로직을 Application 프로그램으로부터 분리하여 Rule Engine이 관리함으로써 개발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규칙관리시스템을 뜻합니다.
출처 : CRM 전문업체 씨씨미디어 ================================================================================================= 비즈니스 규칙 엔진 [-規則-, Business Regulation Engine] 기업의 업무 규칙이나 절차 등을 효과적으로 개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도구. 규칙 기반 관리 시스템(RBMS), 비즈니스 규칙 관리 시스템(BRMS)이라고도 한다. 비즈니스 규칙 엔진(BRE)을 적용해 업무 시스템을 개발할 경우 개발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업무 환경이 변하더라도 현업 담당자가 손쉽게 로직을 수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비즈니스 규칙 관리 시스템 [-規則管理-, Business Rule Management System] 기업 정책, 마케팅 전략, 가격 정책, 이벤트 등 복잡하고 비구조적인 비즈니스 구조와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으로 정의 및 제어함으로써 경험이 부족한 비전문가도 효과적인 업무 처리 및 상품 판매 등에 나설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은행의 경우 신용 카드 사기 방지, 카드 승인, 은행 상품 추천, 대출 승인, 신용도 평가 등의 업무에 활용되고 있다. 진단, 스케줄링, 시뮬레이션 등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BPM), 비즈니스 인텔리 전스(BI) 등과 결합하여 경영 전략 및 정책 적용의 토대로 발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