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Nomad, Category (57)
웹끄적이 (11)
Web P&D (7)
웹동향 (1)
Marketing (1)
참고자료 (18)
Application (13)
읽을거리 (4)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웹끄적이'에 해당되는 글 11건
2008. 1. 9. 12:05
예전에 곧잘 알던 하드웨어도 이젠 너무나 많이 바뀌어서 모르겠더라..
사양 업글을 위해 지식IN에 물어볼 요량으로 질문을 했더니, 이용정지라는 메세지가 나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런 황당할 경우가...내가 전혀 쓰지 않는 아이디인 것이다..
주민번호가 도용되었다는 게 의심되어 고객센터에서 방법을 찾아보니
아이디 찾기를 통해 가입되어 있는 아이디를 확인하란다.
그런데, 확인하니 현재 내가 사용하고 있는 아이디 하나 뿐인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음..그럼 내 주민번호로 가입된 아이디는 아니란 말인가?
주민번호 도용이라는 의심은 생기지만, 정확한 원인을 몰라 일단 지식IN 고객센터에 문의를 했다.
제목 : 이 아이디 하나로 가입되어 있는데 정지라니 어떤 경우죠?
내용 : 혹시나 해서 회원가입을 눌러서 제 이름과 주민번호를 넣었습니다.
         현재 하나의 아이디가 있다고 나오고 그 아이디는 지금의 아이디죠..
         그런데, 첨부파일 처럼 지식인이 막힌 것은 왜 그런건가요?
         동일 주민번호의 ID라고 메세지가 되어있네요... 해당 원인에 대해 답변부탁드립니다.


답변이 왔다.
내용이 길어 대충 정리 하자면..
제목 : 답변:이 아이디 하나로 가입되어 있는데 정지라니 어떤 경우죠?
내용 :
사용하시지 않는 아이디로 지식iN 영구 정지가 되어 많이 놀라셨겠습니다.
타인이 등록한 아이디일수도 있으니 아이디 찾기 확인을 하셔서
직접 가입하지 않은 아이디가 존재한다면

저희 네이버에서는 해당 아이디 삭제와 아이디 생성 잠금처리 후
지식iN 제한 해제도움 드리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디 정지 사유와 위의 내용을 동의하신다면
아래의 필수 정보를 기재하여 다시 문의주시면 빠르게 도움 드리겠습니다.
< 필수 기재항목 >
 - 이름 :
 - 주민등록번호 :
 - 주민등록증 발급일자 :
 - 본인이 생성하지 않은 아이디 :
 - 아이디 삭제와 아이디 생성 잠금처리 동의 :

난 분명히 메일에 아이디 찾기를 통해 해 보았더니 내 것밖에 없더라고 썼다..
그런데, 아이디 찾기를 통해 그 아이디가 있으면 내용을 적고 보내달란다...

어쩌란 말이냐.ㅡ,.ㅡ...

울컥..성질이 나서, 다음과 같이 메일을 보냈다.
내용 :
이런 대답이 뻔히 올 줄 알았지만...했던 얘기를 또 하게 만드는군요..
메일 내용에 제 주민번호로 회원가입을 눌러 현재 메일을 보내는 지금의 아이디 하나만 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더군다나 첨부파일까지 같이 보내드렸는데 다시 한 번 지식인에서 거부 화면을 보게 하네요..
아래 내용에 대해 답변 드릴테니, 처리 부탁드리며, 어떠한 이유에 의해 이와 같은 일이 발생하는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찾기 등을 통해 확인 결과 제 주민번호에 하나의 아이디만 나올 뿐입니다.
주민번호 도용이라면 제 주민번호에 두 개 이상의 아이디가 나오는게 정상이라고 생각됩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해당 원인에 대해 정확히 답변 부탁드리며,
주민 번호 도용이라면 제게는 삭제만 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접속 경로등을 확인했으면 합니다.(최종 접속 IP, 지식IN 등록 게시물, 가입일 등) 최종 접속 ip는 불가하더라도 나머진 가능할 듯 싶은데요.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 이름 : xxx
- 주민등록번호 : xxxxxx-xxxxxxx
- 주민등록증 발급일자 : xxxx.xx.xx
- 본인이 생성하지 않은 아이디 : shwxxxxxx
- 아이디 삭제와 아이디 생성 잠금처리 동의 : 삭제 및 아이디 생성 잠금처리에 동의합니다.

추가로 ... pc사양과 관련된 문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PC사양을 왜 동의해야 하는지 모르겠군요.
네이버 고객센터에 문의하는 사람들의 pc사양 통계를 어떤 마케팅자료로 활용할런지는 모르겠지만요,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는 억지 동의는 필요없지 않을까요? 여러가지로 네이버에 대해 실망 중입니다..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여기서 pc사양 확인 동의는 문의 창구가 사이트 이용안내 > 지식IN 이었기 때문에 필요했던 서비스라는 생각이 든다. 사양에 따라 사이트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을 수도 있으니..ㅡㅡ..(윈도우 업그레이드를 할 때 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보여진다.)
여튼 위의 내용으로 메일을 보냈는데, 답변이 왔다.

내용 :
지식iN 아이디 이용정지 사유로 문의를 주셨었지요?
정상적인 이용이 어려워 많이 불편하셨겠습니다.

문의해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고객님께 죄송한 말씀입니다만, 현재 보내주신 문의 내용은
보다 정확한 확인이 필요하여 바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해당 내용에 대해서는 최대한 신속하게 확인하여
보내주신 메일주소로 결과를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고객님께 신속한 도움을 드리지 못하여 죄송할 따름입니다.
불편하시더라도 조금만 기다려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고객님의 문의에 바로 도움을 드리지 못한 점 사과 드리며,
보다 유익한 지식공간 만들기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하...하...하.ㅡ,.ㅡ

내가 만약 상담원이었다면, 첨부파일로 보냈던 아이디를 확인, 개인정보 보호관련 업무팀에 넘겨 처리했을 것 같다.(그게 안되는 시스템인가?)
그런데, 했던 얘기를 또 하게 하고 (결과 화면까지 첨부했음에도..), 요청한 자료를 줬음에도 기다리란다.

답변 오는 담당자도 틀렸던 것으로 봐서 2번째 상담원은 첫번째 메일 내용을 모르지 않을까 하는 의문도 든다.
그냥 전화해서 처리하는 게 빠를 것 같다는 생각도 들고.ㅡ,.ㅡ...

짜증...지대로다..네이버 고객센터..
2007. 5. 23. 19:34

2005년 7월 스터디 그룹 모임에 다녀 온 후 작성했던 글이다.
지금 보니 그 때에 비해 내가 나아진 게 하나도 없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의 넌 무어냐.ㅡ,.ㅡ..
----------------------------------------------------------------------------------------
05.07.14

커뮤니티 사이트 분석한 자료를 가지고 얘기 나누었다.


한시간 가량을 지각 해 앞부분 내용은 듣지 못했다..


블로그와 미니홈피...어느것이 더 사용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갈까?

블로그는 블로그 나름대로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접근성이 높을 것이고..

미니 홈피는 아무나 쉽게 쓸 수 있고, 엔터테인먼트 적 요소가 강하니 접근성이 높을 것이고..

어느 것이 더 낫다고 할 수가 없지...

문제는 어느것이 인식이 더 쉽냐는 거야.

미니홈피...블로그..+_+..아무래두 미니홈피가 더 쉬워,ㅡ.,ㅡ

그렇기 떄문에 더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하는거겠지....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기획 및 디자인 프로그래밍 하는게 가장 중요하다 싶어..


싸이월드에 대해 참 많은 얘기가 나왔는데..

요즘 신규 서비스하는 타운과 팀플의 연계...충분히 가능성 있는 이야기여써..

소규모 점포(?)들의 지역 정보를 가지고 모아모아 놀아보세..+_+...팔아보세....ㅋㅋ

그걸로 인해 싸이월드가 더욱 큰 커뮤니티가 된다?...가능성이 충분하지.

네이버 야후등은 지역 정보를 따로 놓고 보구만 있다는 영진님의 말씀...

콕 박혔다는 거야..

가지고 있는 컨텐츠를 모듈화 하여 복합적으로 서비스하는것..

개인에게  맞춰지는 서비스..CRM을 토대로 하여..

지향해야 할 커뮤니티 전략이지만, 너무 어렵다...너무 많은 기술과 복잡성을 띄우게 되지.

그래도 해야하는..ㅡ,.ㅡ..


참...조직론과 심릭학에 대해 좀 봐야겠어...커뮤니티 전략뿐 아니라...

어떤 곳에서도 충분히 사용할 만한 것들이야..

병법, 인간관계, .....인성 마케팅..+_+..아직 읽을 책들이 넘 많아.._)+


커뮤니티의 가장 중요한 것은..

아니 커뮤니티만이 아니라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이 중심이라는거야..회사가 중심이 아니구..

개인이 주인이라는 생각..그게 토대가 되어 서비스를 해야 하는거야..

파란이 하이텔의 피씨통신 세대들에게 그걸로 꼬셨다면..

당신의 네트 역사를 찾아보십시오..하여 그걸 잘 이용했다면..

성공했을지도 몰랐다는...영진님의 말씀...기획자는 알아둬야 하는거지..

개인이 중심이 되려면 어쨰뜬 맞춤서비스가 되야하는거야..

맞춤서비스의 시작은....가지고 있는 서비스, 모듈들을 분해...최소단위로 분해하는거지.

끝은....당연히 개인화...ㅋㅋ...CRM을 이용한.+_+....던 많이 든다.ㅠㅠ...


이번 스터디에서 주제와 벗어나 느꼈던 것은..

책을 더 많이 보고,기억해야겠다는 것...!!>화이팅.


 

2007. 3. 7. 08:08

페이지 로딩 속도와 보안 관련 문제 때문에 웹서핑 중 마케팅 관점에서 본 분석 체크 리스트를 찾았다.
간단히 각 문항에 대해 답을 달아봤는데 꽤 오래된 자료인 듯 싶다..ㅎㅎ..
출처는 알 수 없음이지요..너무 많이 돌아다니거든요~

아, 서버단에서 체크하는 리스트 말고 사용자단에서 체크하는 보안 관련한 체크 리스트는 없나?
------------------------------------------------------------------------------------------------

▣ 마케팅 관점에서 본 사이트 분석 체크 리스트

1. 회원의 불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게 하고 있는가?
   --> 지금까지 당연하다고 여겼던 주민등록번호등의 여러 정보들...
         마케팅 관점에서는 필요할지도 모르지만, 사용성에서는 영 아니다라는 생각이 든다.

2. 정보를 이용하는데 불 필요한 회원가입을 유도하고 있는가?

   --> 이 역시 마찬가지 아닐까..쉽게는 아니지만, 결국 찾을 수 있는 정보들을 보기 위해
         회원 가입을 시키는 미친 사이트들..+_+.

3. 문의에대한  답변을 얼마나 정확하고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 사이트 관리, 운영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것이겠다..
         구축을 할 때는 질문에 대한 catch를 빨리 할 수 있도록, 답변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찾아야겠지..

4. 이용자가 문의 하는데 이용의 문제점은 없는가?(예: ARS)

   --> 문의할 수 있는 채널을 다양하게 만들어주는게 해답일까? 아니면 다른 방법이라도..~...

5. 사이트의 신뢰성(정보, 회원정보) 을 보여주고 있는가?

   --> 컨텐츠의 질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였네요..

6. 새로운 아이디어, 컨텐츠나, 서비스, 이벤트 가 있는가?

   --> 이러한 것들이 많아야 방문이 높고, 또 충성고객으로 이어질까?
         새로운 것들이 유도를 시킬 수 있겠지만, 사이트를 유지 하는 건 다른 문제라고 보여진다..

7. 클릭을 유도하는 기법이나 문구(내용)이 잘 되어 있는가?
   --> 말 만들기.ㅋ...가끔 내가 카피라이터라도 된 기분이 들 때가 있다..

8. 회원들의 커뮤니티는 어느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원, 및 서비스는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
   --> 최근에는 카페 등의 커뮤니티 서비스를 주지 않아도 될 만큼 기술이 발달했지..
         하나의 사이트에서만 국한되어 폐쇄적으로 운영되는 커뮤니티는 없어질 수도 있지 않을까...

9. 지불시스템은 얼마나 쉽고 신뢰성이 있는가?
   --> 어떤 PG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느냐에 따른 것이다. 물론 결정은 사이트 관리자가 하는 것이겠지만..

10. 사이트에서 기업의 개성을 느낄수 있는가?
   -->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사이트에 잘 녹여놨느냐 하는 문제인데...최근에는 높은 퀄리티를 내는 디자이너들이 많아 잘 하는 듯...ㅋ

11. 프로모션 활동이나 운영은 어떠한가?
   --> 중요한 부분이겠거니만서도 로드맵을 그려놓지 않으면 단타성으로만 끝날 것들이 많겠다.

12. 계속 관심을 끌만한 컨텐츠나 이벤트가 있는가?

   --> 차별화된 컨텐츠를 생산하고, 차별화된 이벤트를 진행하는가??..글쎄..
         요즘 차별화된 컨텐츠라고 할 만한 것들이 있을까..UCC가 넘쳐흘러나는 시기라, 기업 사이트에서는
         컨텐츠 생산보다는 그것이 가능토록 해 주는 정도로만 끝나고 있는 듯..

13. 얼마나 주기적으로 업데이트가 되고 있는가?

   --> 블로그 포스팅도 마찬가지 개념...쿨럭.ㅡ,.ㅡ

14. 회원의 충성도를 높일수 있는 인센티브 같은 회원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 도토리, 땅콩, 비타민....사이버 머니와 같은 형태와 또 다른 방식은 없을까?

15. 광고가 사이트의 이용에 방해가 되고 있지 않는가? (속도, 크기, 브라우저)
   --> 징그러운 광고.. 서비스를 이용한 수익원이 없는 사이트에서 예전에 많이 사용되었던 광고기법들..정말 귀찮다..

16. 디자인이 웹의 아이덴티를(WI) 반영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 10번 기업의 개성과는 조금 다른 문제지만, 얼마나 큰 차이가 있을까...
        기업이 가지고 있는 개성, 기업의 웹 아이덴티티..차이가 뭐냐? 말 장난일뿐..

17. 회원가입, 및 탈퇴가 쉽고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한다.
   --> 요즘 그렇게 하지 않으면, 관리자가 참 귀찮아진다.

18. 제공되는 정보가 실제 업무에 도움이 되는가?
   --> 어떤 업무에? 마케팅 관점이니 마케팅 측면이겠지.. 그럼 어떤 정보들이 제공되는데?
         문제가 애매하단 생각이 든다.

2007. 1. 26. 00:14

회사 내부 잡지에 써냈던 자료이다.
어렵거나 복잡한 자료도 아니고 단지 현황분석 정도인데도
글을 시작할 때 생각했던 결론과 다른 결과가 나와서 꽤 힘들었다.
혹시나 이 자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있을까 싶지만, doc파일로 함께 올려본다.



-----------------------------------------------------------------------------------------------
정보 공유를 위해 탄생한 인터넷은 점차 일상 생활 속에 더욱 깊이 파고 들어 하나의 세상으로 발전해 나갔다. 이러한 변화들 전자적 매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발전은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커뮤니케이션 발전을 통해 인터넷이 단순히 디지털 정보만을 전달하는 매체가 아니라 사람과 사람이 만나고 대화하는 하나의 새로운 공동체 사회로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인식과 맞물려 기업은 그에 맞는 툴을 제공하게 되고 인터넷 사용자들은 오프라인 동호회를 온라인으로 옮겨가기도 하고, 온라인에서 새로운 커뮤니티를 형성하기 시작했다. , 기업은 기업이 서비스하는 사이트에 충성고객을 만들어 이를 토대로 매출을 극대화할 있는 길을 모색해야 했고, 사용자는 인간 관계 형성의 욕구를 해소할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필요했다.

하지만, 오랜 기간에 걸쳐 온라인 커뮤니티가 생성과 폐쇄 등을 거치면서 익명성을 통한 범죄, 개인주의 촉진, 신뢰 없는 지식과 자료 공유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기 시작하고 이와 더불어 인터넷의 가장 강력한 사용자들이 집단에서 끼리끼리 문화로 변모해 가면서 1 미디어에 대한 욕구가 강해짐에 따라 커뮤니티와 관련된 서비스 이용이 축소하기 시작한다.

현재는 커뮤니티의 문제점들이 조금씩 보완됨에 따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는 온라인 커뮤니티와 1 미디어로 구분 지을 있게 된다.(1 미디어는 블로그와 미니홈피 등을 말한다. 여기서는 블로그와 미니홈피만을 지칭하도록 한다.)

그렇다면 앞으로 커뮤니티와 1 미디어는 어떤 방향으로 발전하게 것인가?

현재의 커뮤니티 서비스 현황과 1 미디어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분석해보도록 한다.

 

1. 커뮤니티 서비스 현황

먼저 포털에서 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에 대해 분석해 보도록 하자. 아래는 랭키닷컴의 자료를 기준으로 하여 2006 5월부터 10월까지의 자료이다.

세션
방문

 

다음카페

네이버카페

싸이클럽

네이트클럽

파란클럽

월별 합계

2006.05.

8,843,910

4,974,983

1,741,446

257,998

185,792

16,004,129

2006.06.

8,869,747

5,406,615

1,665,304

259,140

192,749

16,393,555

2006.07.

9,155,902

5,588,522

1,738,739

246,375

217,117

16,946,655

2006.08.

9,060,682

5,440,759

1,757,548

250,378

194,044

16,703,411

2006.09.

9,089,651

5,620,245

1,794,906

243,566

176,974

16,925,342

2006.10.

8,840,574

5,760,565

1,744,835

244,779

190,156

16,780,909

합계

53,860,466

32,791,689

10,442,778

1,502,236

1,156,832

99,754,001

백분율

53.99%

32.87%

10.47%

1.51%

1.16%

100.00%

일평균
방문지수

2006.05

4,099,562

2,883,485

958,343

142,097

100,183

8,183,670

2006.06

4,158,857

3,092,227

928,844

152,230

96,322

8,428,480

2006.07

4,230,048

3,128,588

1,017,831

139,008

108,540

8,624,015

2006.08

4,249,853

3,071,297

1,030,805

139,777

99,079

8,590,811

2006.09

4,283,059

3,134,875

1,036,052

140,700

97,518

8,692,204

2006.10

4,103,558

3,211,186

999,043

132,532

103,640

8,549,959

합계

25,124,937

18,521,658

5,970,918

846,344

605,282

51,069,139

백분율

49.20%

36.27%

11.69%

1.66%

1.19%

100.00%

<1. 랭키닷컴 커뮤니티 2006.05~2006.10 기준 자료>

1에서 다음 카페와 네이버 카페의 세션 방문과 일평균 방문자수의 점유율이 차이가 나는 것을 있다. 이는 해당 기간 동안 다음 카페보다 네이버 카페 방문자수는 많았으나 실제 방문한 횟수는 다음 카페가 많았음을 말한다. , 다음 카페의 충성고객이 네이버 카페 보다 많다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프1. 랭키닷컴 커뮤니티 2006.05~2006.10 일평균 방문자수 기준 자료>

그래프1 2006 5월부터 10월까지의 일평균 방문자수를 그래프로 표시한 것이다. 다음 카페가 49.20%, 네이버 카페가 36.57% 넘는 점유율을 보이며 커뮤니티 서비스에 대해 주도를 하고 있음을 있다.

 

다음카페

네이버카페

싸이월드클럽

네이트클럽

파란클럽

월별 합계

2006.05.

135,111,206

53,421,812

53,172,913

2,864,325

2,704,517

247,274,773

2006.06.

131,778,160

59,173,538

49,429,901

3,042,324

2,876,536

246,300,459

2006.07.

135,186,031

65,177,283

46,740,766

2,783,848

3,271,907

253,159,835

2006.08.

128,456,804

65,297,782

43,682,417

2,856,988

3,104,921

243,398,912

2006.09.

131,274,836

70,163,326

35,714,393

2,756,745

2,656,611

242,565,911

2006.10.

143,964,980

77,037,151

26,100,830

2,952,287

2,978,835

253,034,083

합계

805,772,017

390,270,892

254,841,220

17,256,517

17,593,327

1,485,733,973

백분율

54.23%

26.27%

17.15%

1.16%

1.18%

100.00%

<2. 랭키닷컴 커뮤니티 2006.05~2006.10 일평균 페이지뷰 자료>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프2. 랭키닷컴 커뮤니티 2006.05~2006.10 일평균 페이지뷰 기준 자료>

일평균 페이지뷰 그래프에서 유일하게 싸이월드 클럽만이 지속적인 페이지뷰 감소를 보이고있다. 그래프1 조합하여 결과를 산출하면 싸이월드 클럽 서비스에 대해서는 다른 사이트보다 충성도가 낮음을 있다.

 

2. 1 미디어 서비스 현황

다음으로 포털의 1 미디어 서비스 현황에 대해 알아보자. 기준은 위와 마찬가지로 랭키닷컴의 2006 5월부터 10월까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
네이트통 : 섹션 등록이 늦어 8 이전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음)

세션
방문

 

싸이월드홈피

네이버블로그

다음블로그

다음플래닛

네이트통

월별 합계

2006.05.

18,283,940

8,889,322

1,602,482

1,398,353

0

30,174,097

2006.06.

18,024,591

9,342,839

1,660,128

1,280,888

0

30,308,446

2006.07.

17,877,407

9,228,459

1,850,988

1,054,946

0

30,011,800

2006.08.

17,751,430

9,095,430

1,877,022

1,023,615

650,297

30,397,794

2006.09.

16,553,142

8,437,600

1,811,186

983,043

680,932

28,465,903

2006.10.

16,907,341

8,478,419

1,826,011

1,007,449

623,776

28,842,996

합계

105,397,851

53,472,069

10,627,817

6,748,294

1,955,005

178,201,036

백분율

59.15%

30.01%

5.96%

3.79%

1.10%

100.00%

일평균
방문자

2006.05.

6,305,210

4,672,715

1,178,507

1,002,385

0

13,158,817

2006.06.

6,239,842

4,892,779

1,237,694

924,824

0

13,295,139

2006.07.

6,175,087

4,811,527

1,333,844

711,961

0

13,032,419

2006.08.

6,228,485

4,780,647

1,357,493

690,085

481,689

13,538,399

2006.09.

6,055,562

4,539,756

1,316,398

666,973

502,034

13,080,723

2006.10.

6,046,527

4,551,315

1,312,712

689,107

477,539

13,077,200

합계

37,050,713

28,248,739

7,736,648

4,685,335

1,461,262

79,182,697

백분율

46.79%

35.68%

9.77%

5.92%

1.85%

100.00%

<3. 랭키닷컴 블로그 2006.05~2006.10 기준 자료>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프3. 랭키닷컴 블로그 2006.05~2006.10 일평균 방문자수 기준 자료>

싸이월드 미니홈피와 네이버 블로그가 80%이상의 점유율을 보인다. 서비스의 session visit, 일평균 방문자수를 비교 분석해 보면 싸이월드의 미니홈피가 네이버 블로그보다 재방문이 많다는 것을 유추할 있다.

 

싸이월드홈피

네이버블로그

다음블로그

다음플래닛

네이트통

월별 합계

2006.05.

406,383,756

42,201,902

6,235,186

7,607,586

0

462,428,430

2006.06.

389,402,551

43,755,786

5,731,706

7,238,616

0

446,128,659

2006.07.

385,428,571

46,363,254

10,111,421

7,183,026

0

449,086,272

2006.08.

393,679,149

45,674,282

10,997,055

6,651,063

6,233,609

463,235,158

2006.09.

360,550,438

46,184,256

10,909,835

6,383,913

6,407,662

430,436,104

2006.10.

399,332,640

51,484,459

10,186,264

8,115,855

5,945,806

475,065,024

합계

2,334,777,105

275,663,939

54,171,467

43,180,059

18,587,077

2,726,379,647

백분율

85.64%

10.11%

1.99%

1.58%

0.68%

100.00%

<4. 랭키닷컴 블로그 2006.05~2006.10 일평균 페이지뷰 자료>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프4. 랭키닷컴 블로그 2006.05~2006.10 일평균 페이지뷰 기준 자료>

이전 커뮤니티 현황 분석에서는 다음 카페와 네이버 카페의 평균 방문자수 추이와 페이지뷰 추이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점유율 면에서 비슷했다고 있으나, 그래프3 그래프4 비교해 보면 평균 방문자수 추이와 페이지뷰 추이가 많은 차이가 난다.

이는 싸이월드 미니홈피 서비스의 방문자수가 많기도 하지만, 실제로 서비스를 자주 이용하는 고객이 블로그를 이용하는 사용자보다 더욱 많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평균을 구해보면 미니홈피는 사람이 60페이지를 보고, 네이버블로그는 사람이 10페이지를 보게 된다. , 국내의 1 미디어 시장의 현재까지의 구조는 미니홈피가 독보적인 존재임을 있다.

 

3. 커뮤니티와 1 미디어 비교

포털별로 비교하기 쉽도록 네이버, 다음, 싸이월드의 커뮤니티와 1 미디어를 비교해 보자.

(다음 플래닛은 포함시키지 않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프5. 포털별  2006.05~2006.10 일평균 방문자수 기준 자료>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프6. 포털별  2006.05~2006.10 일평균 페이지뷰 기준 자료>

위의 그래프에서 전체적으로 1 미디어 서비스 방문자수 페이지뷰가 많음을 있다. , 포털의 특성에 따라 다음은 커뮤니티가 싸이월드는 1 미디어가 높게 나왔다.

, 포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사용자가 움직인다는 결과를 도출할 있다.

 

4. 커뮤니티와 1 미디어의 발전 방향

휴먼 네트워크(Human network) 사람들 간에 맺고 있는 관계나 구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인간 관계를 유지하는 행위(relational maintenance behaviors) 바라는 관계적 지향점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관계, 신뢰, 좋아함 등을 포함하는 행동과 활동 지칭한다(Canary & Stafford, 1994). 이는 소셜 네트워크라고 지칭되는 사회학의 사회연결망 이론과 부합된다고 있다.

커뮤니티는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인간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툴로, 1 미디어는 자신을 남에게 알리면서 자아의 정체성을 확인할 있는 툴로 이용이 가능하다. 조금은 다른 목적이지만, 커뮤니티와 1 미디어 모두 휴먼 네트워크를 기초로 하여 사용되는 툴이다. 고객은 기업이 제공하는 가지의 서비스() 이용해 인간 관계를 지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맺어가고 있다. 그렇다면 커뮤니티와 1 미디어가 발전해야 방향은 어떤 것일까?

1 미디어에 대한 관심에 높아짐에 따라 커뮤니티 서비스의 발전이 주춤하였다. 하지만, 최근에 UCC, web 2.0 트랜드에 맞춰 1 미디어를 통해 단순히 자신을 남에게 알리는 것만이 아니라 안에서 관계를 맺어가길 원하는 욕구, 커뮤니티와 1 미디어의 결합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있다. 아직까지는 많이 부족하지만, 싸이월드에서 제공했던 페이퍼가 하나의 예가 있겠다. 또는, 1 미디어에서 공통된 관심을 가진 사람들끼리 커뮤니티가 형성될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어떨까? 싸이월드의 페이퍼는 커뮤니티에서 1 미디어로의 연결이었지만, 1 미디어에서 시작해서 커뮤니티가 이뤄진다면 개개인의 정체성도 확인하면서 목적을 가지고 접근하기 때문에 서비스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질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어쩌면,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wiki 서비스가 기반이라고 있다. 하지만, 이상의 어떤 서비스가 분명히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참고>

1. 디지털인맥과 인간관계망 2004. 미래한국연구실 김지수

2. 랭키닷컴 통계 자료

2007. 1. 25. 22:39

제안서를 쓰면서 방향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고 한다.
아직 초짜 기획자인 나에겐 저 방향이란 놈을 잡기가 참 힘들다.
방향이라고 하니 조금 난감하군, 전략이라고 하는 게 주절 대기 편하겠다.
RFP를 받고 제안의 목적, 배경, 범위를 정리해 본다.
왜 사이트를 리뉴얼하느냐, 무엇 때문에? 머가 문제인데?
이런 대답을 대충 RFP에서 해주기도 하고 안 해주기도 한단다.
안 해주면 QA리스트를 작성해서 귀찮게 한다.(우리에게 답을 다오~~)
이렇게 묻기가 곤란하면? 알아서 동종 업계나 해당 사이트를 분석해서 찾아내기도 하겠지..

그래서 거꾸로 가는 경우도 있다.
RFP 받고 회의를 통해 어떤 서비스를 컨텐츠를 넣을꺼고,
브랜드는 어케 표현하고..web2.0은 UCC는...머는 머는..ㅡ,.ㅡ
그렇게 대략 정리하다보면 이번 제안에는 어떤 목소리를 내야 할까라는 게 답이 나오기도 한다.
끝까지 안 나오기도 하겠지....내가 썼던 바보같은 제안서 처럼.+_+
그러면 제안서의 전략이 엉뚱해지기 시작한다.
당췌 이 제안에서 하고 싶은 말이 먼데? 넌 뭐를 생각하고 이걸 쓰는 건데?
몇 번의 리뷰를 거쳐도 답이 없다...
내가 하고 싶은 말이 뭔지..왜 자꾸 서비스,컨텐츠 위주로만 모든 것들이 풀리는지...
내가 하고 싶은 여러 말을 하나로 합친다는 것이 쉽지가 않다.
그래서 바보 제안서가 된다.
바보 같은 제안서..
거꾸로 가는 제안서...

하고 싶지 않은데, 왜 자꾸 그렇게 될까?
제안서를 멋지게 풀어가는 것...하고 싶다.+_+..

prev"" #1 #2 #3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