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Nomad, Category (57)
웹끄적이 (11)
Web P&D (7)
웹동향 (1)
Marketing (1)
참고자료 (18)
통계자료 (6)
즐겨찾기 (1)
관련용어정리 (10)
Application (13)
읽을거리 (4)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참고자료/관련용어정리'에 해당되는 글 10건
2008. 3. 15. 11:35
POS System을 도입의 이점

■Polaris 개요

장비에 의해 판매시점에서 발생된 모든 판매관련 데이터를 즉시 수집ּ종합하여 단순한 계산의 기능을 넘어서 여러 종류의 판매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판매자가 이후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판매시점 정보 관리 시스템입니다.


- 판매시점
좌석별 주문 및 계산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으며, 주문 및 계산 정보 등을 판매 시점 즉시 분석 할 수 있는 판매시점 관리 시스템입니다.

- 영업정보
인적관리 및 물적관리를 통해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 종합정보
경영정보시스템과 연결하여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입니다.

- 본 지점 연계시스템
본 지점이 상호 연결하여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POS 시스템 도입의 필요성

1. 일반PC를 이용한 각종 자료의 전산화로 필요한 자료의 신속조회 가능
2. 전산화의 부수적 효과인 업무의 표준화를 통해 사내 정보의 표준화를 실현
3. 전산화의 직접적인 효과로써 인력의 효율적인 배치를 위한 지식요구 업무의 전산화를 수행하여 단순.반복적인 업무로 변경시키고 또한 기록하는 간을 최대한 절감
4. 신속.정확한 전산의 특성으로 자료의 정확한 수집과 통계작성의 신속성으로 조회가 적시에 가능하도록 한다.
5. 경영자가 회사의 판매실적 및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 등의 신속조회 가능
6. 각 매장, 업장의 발주, 구매 및 재고관리를 본부에서 총괄관리
7. 각 매장, 업장 마다 POS가 도입됨으로써 인력감소, 시간절약, 상품재고 적정화, 상품 라이프 싸이클 및 판매 관리 등 점포 관리의 용이 및 안정성 유지

■매입매출업무 시스템의 기능
- 매입 매출업무를 회계시스템에 직결시킴
- 판매업무의 통합과 재편성을 이룸
- 판매업무환경 변화에 대응

■통합업무시스템의 효과
- 조직의 수평화 추진(BPR가능)
- 비용절감(이중 입력 폐지, 간접업무 효율화)
- 업무처리속도 향상으로 판매리드타임 단축
- 회계시스템과 다른 시스템의 연결로 결산 목적외에 경영상 의사결정에 유용한 비용정보 획득가능

■기술적 측면
- Open Interface Architecture 제공으로 외부 시스템과의 통합 용이
- 광범위한 자료 구축(Data Warehouse)을 이용하여 End User 측면에서 유연한 자료 활용 가능
- Smart Client Server 기술로 기존의 Network Resource의 활용을 극대화 하여 불필요한 투자 요인 감소
- Parallel Processing을 이용하여, 다중 Node에 대한 동시 병렬 MRP 계획을 수행할 수 있으며 높은 수준의 처리량과 신뢰성 확보
- Web POS는 어떠한 O/S(Window, NT, Linux, Unix, Dos…)와 상관없이 사업성 또는 업종용도에 따라 Device를 자유롭게 추가 또는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익점

■POS 시스템의 도입의 장점
- 매상등록시간이 단축되어 고객대기시간이 줄며 계산대의 수를 줄일 수 있다.
- 매입, 매출,재고,입출금관리를 고객관리(회원카드)를 통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 바코드라벨에 의한 표준화된 업무로 인하여 상품가격의 투명성,고객신뢰도 확보 할 수 있다.
- POS 터미널의 도입에 의해 판매원 교육 및 훈련시간이 짧고 입력오류 방지 단품관리에 의해 잘 팔리는 상품과 잘 팔리지 않는 상품을 즉각 찾아낼 수 있다.
- 전자주문 시스템(Electronic Order System : EOS)과 연계하여 신속하고 적절한 구매를 할 수 있고 재고의 적정화, 물류관리의 합리화, 판촉전략의 과학화 등을 가져올 수 있다.


출처 :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4&dir_id=40903&eid=8WWuVxvs+LengqLvKzPRAwMKG2IPM8sh&qb=UE9T
2008. 1. 9. 10:14

디드로 효과 (Diderot Effect)
 
디드로 효과란 특정 제품의 업그레이드가 그것을 둘러싼 다른 제품의 업그레이드를 연속적으로 촉발하는 상향 효과를 말한다.

우연히 선물 받은 샴페인에 격을 맞추기 위해 예정하지도 않았던 샴페인 글라스를 사고, 큰 맘 먹고 산 명품백 때문에 명품 구두까지 사게 되는 현상이 일례이다. 새 DVD 플레이어가 멀쩡한 브라운관 TV를 몰아내고 커다란 평면 LCD TV를 구매하게 만든다거나, 새 넥타이가 고급 양복 수트와 코트의 구매로 이어지는 것도 디드로 효과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디드로 효과를 이용하여,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가 인간의 욕망과 얽혀 어떤 상향 효과를 일으킬지 분석하고 새로운 관련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도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이 될 수 있다.

-DMC 2008년 제1호 뉴스레터 중-
--------------------------------------------------------------------------------------------------
보통 내가 잘 하는 행동이다. 이번에도 모니터를 22인치로 바꿨더니 컴퓨터를 바꾸고 싶더라...
보드 부츠와 바인딩을 사니, 데크도 바꾸고 싶더라...

쇼핑몰에서는 연관 상품 보여주기 정도가 디드로 효과를 이용한 마케팅이라고 볼 수 있겠군.
보드복을 사러 들어온 사람한테, 벨트를 보여준다던가... 함께 구매하게 하도록. 말이지....

2007. 4. 20. 18:06
데이터 마트 역시 아래 포스트 했던 글과 동일하게 ㅇㅇ쇼핑몰 제안 시에 들었던 용어입니다.
DW에 대해서는 대략 이해를 하고 있었는데 처음 들어봤던 용어라 검색해보았습니다.
그냥 생각했을 때는 데이터웨어하우스가 포함되겠지 했는데 사용자에 포커스 된 데이터라는 점에서 조금 다르더군요. 물론 더 큰 개념이라는 점은 당연한거겠지만요..

============================================================
데이터 마트 (DB Mart, Data Mart)

데이터 마트는 운영데이터나 기타 다른 원천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저장소로서, 특정그룹의 지식노동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된다. 데이터는 전사적인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그리고 보다 특화된 것으로부터 끌어낼 수도 있다. 데이터 마트의 중요성은 분석이나, 내용물, 표현 및 사용의 용이성 등의 측면에서 특정 그룹의 지식노동자의 명확한 요구에 부합되는 데에 있다.

실제로는, 데이터 마트나 데이터 웨어하우스라는 용어가 각각 어느 정도까지는 서로의 존재를 포함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용어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필자들은, 데이터 마트의 설계는 사용자요구분석으로부터 시작하고,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가 어떤 것인지와, 그러한 것들이 어떻게 수집될 수 있는지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출발하는 경향이 있다는 사실에 대해 의견을 같이 한다.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데이터의 중앙 집합체이고(실제로 그것들의 물리적인 위치가 분산되어 있을 수는 있지만), 데이터 마트는 데이터 웨어하우스 등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데이터의 저장소로서 특별히 계획된 목적을 위해 접근의 용이성과 유용성을 강조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웨어하우스는 전략적이지만 다소 덜 다듬어진 개념이며, 데이터 마트는 전술적이며 당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데에 목표를 두는 경향이 있다.

Marc Demerest 라는 필자는 UDA라는 개념을 주창하며, 두 가지를 이 곳으로 결합하자는 제안을 한다. 실제로 데이터 웨어하우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많은 제품들과 회사들이, 데이터 마트 능력과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 관련 사이트들
- 1993년 11월에 Marc Demarest이 발표한 '데이터 마트의 구축'이라는 논문입니다.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데이터 마트의 결합을 제안하는 설명이 제공됩니다.
- 다양한 산업계의 전문가들의 데이터 마트에 관한 시각을 요약한 자료입니다.

출처 : [김동근의 텀즈*컴퓨터 용어사전]
============================================================


2007. 4. 20. 17:31

이번에 ㅇㅇ쇼핑몰 제안에 참여하면서 새로운 용어를 들었습니다.
RBMS가 바로 그것인데 요놈은 무엇을 하는 놈인가 찾아보았습니다.
몇 가지 내용을 찾았었는데 그나마 아래 내용이 좀 더 이해하기 쉬워 가져와 봤습니다.
더불어 관련 용어도 좀 찾아봤습니다.

통합된 로우 데이터들을 틀을 만들 수 있는 기본적인 엔진(BRE)을 통해
관리자가 쉽게 원하는 룰을 생성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 룰이 수정되면 이미 룰이 적용되어 보여졌던 데이터들도 수정된 룰에 따라 바뀌겠죠.?

제가 이해한 것이 맞다면, 현업 업무 담당자가 손 쉽게 툴을 이용해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영업무 진행 시 개발자가 해야 할 업무들이 많이 줄게 될 것이고, 이는 시간 단축으로 이어지겠군요.

그나저나,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모르겠네요. 혹시 내용에 대해 잘 알고 계신 분 있으시면, 말씀 좀 부탁드립니다.

2007. 3. 26. 17:04

USP [unique selling proposition, 固有販賣提案, 고유판매제안]

USP는 소비자에게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그 상품의 독특함을 제시하고, 경쟁사들의 상품이 가지지 못할 만큼의 소비자가
그 상품을 구매할 만한 강력한 것이어야 한다는 것, 다시말해 '차별화된 제품의 특징'이다.
1940년대 뉴욕의 광고대행사 테드 베이츠(Ted Bates)사의 로서 리브스(Rosser Reeves)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상품을 구매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특출한 이점으로서, 주로 광고의 주제로 사용된다.
상품의 독특한 이점이 없다면, 광고주는 포장의 간편성 등을 상품의 고유판매제안으로 창출해야 한다.”

USP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기본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상품이나 서비스에 관한 각각의 광고는 소비자에게 그 상품의 독특한 이점을 제시해야 한다.
㉡광고하는 상품의 USP는 경쟁사의 상품이 가지지 못하는 독특한 것이어야 한다.
㉢광고상품의 독특한 이점은 소비자가 그 상표를 구매하려고 할 만큼 충분히 강력한 것이어야 한다.

예)
피부스킨을 사용함에 있어 민감성피부인 사람이 필요로 하는 화장품은 다른제품보다 트러블이 나지 않는것. 이것이 '소비자 니드'
이고, '이 화장품은 민감성 피부에 강합니다.'라는 카피를 쓴 것이 소비자에게 맞춘 USP인 것이다.
또 하나로, 미스터 피자는 치즈에 따라 맛이 달라지는 데 어떤 치즈나 재료를 사용했느냐에 따라 네이밍이 달라지는 것. 그것이 USP전략인 것이다.
리바이스청바지는 청바지의 원조라는 부분은 다른 어떤 청바지 회사도 가질 수 없는 리바이스만의 핵심  USP가 될 수 있다.


참조및출처 : 네이버백과사전, 카피카피룰루

prev"" #1 #2 next